크론 질병 1(Crohn's disease)
심인성 질환의 역사위와 장 계통의 질병소화성 십이지장 궤양궤양성 대장염기관지 천식호흡기 계통의 질병들고혈압갑상선 질병루마치스 관절염심장 혈관 계통의 질병들내분비학과 신진 대사 계통의 질병들피부 병 계통의 질병들관절과 뼈근육 계통의 질병들기타 질병들페키지 치료심리적인 문제의 핵심치료자의 평가?치료 사례21세기 정신장애의 유형치료자의 학력과 경력심리 치료 효과?전문 사이트 소개

대장염 
대장염 11 
심리적인 측면 
감정적인 측면 
성격적인 특징들 
성격들과 갈등들의 기원 
대장염에 대한 심리신체적인 이론들의 정리 
대장 생리학 
면역학 
크론 질병 1(Crohn's disease) 

 

Hogan(앨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이자 콜롬비아 대학교 부설 정신분석학교 교수)가 쓴 궤양성 대장염의 글을 인용(심인성질환 질병, 제 Ⅲ 부 위와 장의 조직, 제 15 장 대장염 질병에서 인용)

 

 
크론 질병(급성 국소성 소장염(Crohn'disease)(회장염)

- 소장염(크론씨병), 국한성 회장염, Crohn's disease, Regional enteritis -

 

크론병(Crohn's disease): 회장 끝의 20-25cm 부위에 만성 장염이 일어나 반흔화 한다(瘢痕化-흉터가 흔적으로 남는다).

 식욕 감퇴의 급성 국소성 소장염은 특이한 것은 브루노(Bruno)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병리적으로 급성 소장염(Crohn disease)은 점막 그 자체가 아니고 점막 하부에 관계되는 염증의 과정이다. 소장의 모든 층들을 혹은 대장의 모든 층들을 관계할 수 있다. 사례들의 약 50%는 육아 종이나 악성 육아종이 나타난다. 관계된 피부 조직이 흡착 폐색가 흔하다. 급성 국소성 소장염의 가장 중요한 파괴적인 복잡성은 구멍의 형성이다. 이 구멍이 회장과 대장 연립, 대장-쓸개, 회장 혹은 대장-복막, 회장 혹은 대장-복부, 대장-쓸개, 직장과 복막, 혹은 회장-버자이너(음부) 등에 구멍이 생긴다(Korlitz, 1979).

 궤양성 대장염증과 급성 국소성 소장염(Crohns disease) 사이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궤양성 대장염을 위해서 기술하는 모든 복잡함은 급성 국소성 소장염과 함께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는 대규모 위와 장의 출혈의 개발 혹은 거대 결장의 개발이 포함되어있다. 이 질병의 시작은 궤양성 대장염의 시작과는 다르다. 첫 증세들은 발달 결함일 수는 있다. 흡수 불량의 증세들일 수 잇다. 혹은 다른 영양분의 어려움 일 수 있다. 낮은 열이 나거나 거식증, 으스스한 느낌(병적인 징조) 지속적으로 피가 나지 않는 설사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말초 대장 혹은 직장과 관계된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피가 나거나 혈변 설사가 첫 증세로써 생산되어질 수 있다. 결과들에 대해서는 일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급성 국소성 소장염의 수술보다 한층 더 성공적이다. 크로릿(Korlitz, 1979)는 표현을 다음과 같이 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급성 국소성 소장염을 위한 어떤 유형의 수술 다음에는 매년마다 약 15%의 재발 비율이 있다. 미국과 북 유럽에서 급성 급성 국소성 소장 염의 연간 발생은 인구 10만 명 당 3-5명 정도이다. 반대로 궤양성 대장염은 인구 10만 명당 5-10명 정도이다(Goodman & Sparberg, 1978).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은 1950년 이래 상대적으로 안정되어있다. 동시에 급성 국소성 소장염은 1953년과 1973년 사이에 2-5배로 증가되었다. 반복해서 명심해야 할 것은 멕캔지(McKegney, 1970)와 동료들은 노트를 하기를 두 질병 사이에 환자들 사이에는 의미 깊은 차이가 없다. 증세의 심각성은 감정 혼란의 심각성과 관계되어있다(Hogan, 1987).

 

크론 질병(Croh's disease)에 대해서 더욱더 상세하게 알고 싶은 사람은 다음의 홈 페이지 Crohn's disease Ⅱ에 들어가 보세요.

 ;연락처 
		서울 (목,금,토 )
		부산 (월,화,수 )
		휴대폰  010- 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휴대폰: 010-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Copyright(c) 2014 Psychology Clinic. All rights reserved.